산재보험 계산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계산이라고 하니까 뭔가 공식을 대입해서 하는 분도 계시겠지만, 근로복지공단에서 제공하는 산재보험 계산기로 하는 계산입니다.
직장을 다니시는 분들이라면 보험료를 원청징수로 납부하고 계셔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겁니다.
이럴 떼 내가 내는 보험료 중 산재보험료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실건데요.
오늘은 그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한 포스팅이니 참고하시면 되겠네요.
우선 근로복지공단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하셔야하는데요.
저는 네이버검색으로 링크를 제공받아서 방문해보겠습니다.
아래는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메인화면입니다.
상단 메뉴 중 [가입납부서비스]라는 대 메뉴가 있습니다.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하위 메뉴가 주르륵 뜬답니다.
하위 메뉴 중에서 [보험료등 알아보기] 메뉴가 있습니다.
혹시나해서 빨간펜으로 안내해 드렸습니다.
해당 메뉴를 클릭하시면, 화면이 바뀌는데요. 아래화면은 그 중의 일부입니다.
계산기 부분만 캡쳐했답니다.
내가 받는 보수 총액을 입력한 후 [보험료율 찾기] 버튼을 눌러 줍니다.
새창으로 [업종별 유율 찾기] 메뉴가 나오는데요.
여기서 자신이 일하는 분야의 업종을 입력하시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업종을 잘 모르시겠으면, 가장 정확한게 회사에 문의하시면 되는데요.
저는 건설업 쪽 일이라서 건축이라고 입력하니, 위 그림처럼 검색결과가 나오는군요.
해당하는 업종을 클릭하면 아래처럼 빈 칸이 자동으로 채워진답니다.
보험료 부분은 여전히 빈 칸으로 나오는데요.
우리가 알고 싶은게 산재보험료이니, 이제 [계산] 버튼으로 계산해 봅니다.
네 76,000원이 산재보험 계산되어서 나오는군요.
자신의 산재보험료가 궁금하시다면 이렇게 공식홈페이지 방문하셔서 계산기로 산재보험 계산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