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간은 종합소득세 세율에 대해서 알아볼텐데요.
흔히 종소세라고 하죠. 종합소득세란 쉽게말해서 모든 소득을 종합해서 과세하는 조세를 말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모든 소득에 대해서 종합해서 종합소득세로 묶지는 않습니다.
6개의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만들 묶어서 종합소득세로 분류하고 있죠.
2015년도부터 종합소득세 세율이 조금 변경되었는데요. 소득세 최고세율(38%) 기준이 낮아졌으며, 성실신고확인제의 수입기준도 낮아졌습니다.
또한 주택임대의 활성화를 위해서 2000만원이하의 주택임대 소득에 대해서는 면세되기도 했는데요.
이렇게 달라진 종합소득세 세율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합니다.
종합소득세에 관한 세금과 세율에 대해서 알아보기위해서는 정부기관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한데요.
검색엔진에서 국세청을 검색해서 들어가시면 가장 정확하게 안내받으실 수 있답니다.
국세청 메인페이지에 보시면 메인 메뉴 중 [성실신고지원] 메뉴가 보이실 겁니다.
마우스를 가져다 대시면 하위메뉴 중 [종합소득세] 메뉴가 나오게 되는데요. 클릭해서 들어가시면 계속해서 안내받으실 수 있죠.
그러면 종합소득세에 관한 간략한 내용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종소세는 다음해 5/1 부터 31까지 납부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아래쪽으로 보시면 요약정보와 서식, 이용방법 등이 안내되어있는데요.
요약정보 아래 소메뉴에 [세율] 메뉴가 보이네요.
아래쪽으로 종합소득세 세율이 2005년도 귀속까지 나와있는데요.
캡쳐는 2014년, 2015 귀속까지만 했습니다. 참고하시고요.
세율 적용 방법입니다.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과세표준은 연간 소득입니다. 모두 아실테고요.
세율과 누진공제액이 표에 나와있으니 이를 식에 대입하시면 바로 세율이 도출됩니다.
종합소득세 세율에 대해서 생각보다 조금 길게 설명되었는데요.
결국은 위 식으로 모두 해결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