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자신의 컴퓨터의 비트(32bit, 64bit)를 알고 계시나요?
맥이 아닌 경우 우리나라의 컴퓨터는 거의 마소제품인데요.
같은 마이크로소프트 컴퓨터라도 운영체제에 관계없이 크게 32bit와 64bit운영체제로 나뉘는데요.
프로그램을 다운받더라도 내컴퓨터 비트를 알고있어야 제대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이렇게 두가지로 나뉘는 걸까요?
그건 마소의 32비트 메모리 주소체계 때문에 생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입니다.
논리적으로 32비트 체계는 메모리를 2G이상을 인지하지 못하는데서 생깁니다.
요즘은 윈도우7에서 메모리를 2G이상 장착하면 인지는 하는데요.
말그대로 메모리가 장창된 상황을 인지만하지 2G이상은 사용하지 못합니다.
어쨋든 이렇게 내컴퓨터 비트확인을 해야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확인하는법 두가지 정도와 더 쉽고 빠르게 알 수 있는 단축키를 소개해 드릴텐데요.
1. [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에서 확인
2. [ 다이렉트x진단도구 ]에서 확인
시스템 메뉴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더 간단하게 [내컴퓨터]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속성] 메뉴를 클릭하면 여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속성을 클릭한 후 화면입니다.
사실 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단축키를 이용한 방법인데요.
Win + Pause Break
Win키는 아실테고 Pause Break키는 키보드 우측 상단부분에 있습니다.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단축키를 누르시면 위의 이미지와 동일한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액티브x진단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역시 단축키가 필요한데요.
Win+R 키를 눌러서 실행창을 여신 후 [dxdiag]를 입력해주세요
입력하신 후 확인버튼을 누르시거나 엔터를 치시면 아래의 DirectX 진단도구가 활성화됩니다.
첫번째 [시스템] 탭에서 빨간펜으로 밑줄 그은 운영체제 부분에 컴퓨터 비트확인을 하실 수 있네요.
두가지 정도의 방법으로 이렇게 컴퓨터 비트확인을 하는법에 대해서 안내해드렸는데요.
제가볼때는 단축키 Win + Pause Break만 기억하신다면 정말 간단하게 확인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