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I 계산기 사용해보기 |
by 나만의 인터넷 히스토리 |
이번 포스팅에서는 DTI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보통 이 계산기를 이용하는 이유는 내 대출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 겁니다.
이 포스팅으로 정확하게 아시고 가시면 좋겠습니다.
이 포스트의 주요 내용
- DTI란 무엇이고 DTI 계산기 사용해보기
일단 DTI란 무엇인지 한번 알아볼까요?
네이버에서 지식백과로 안내된 부분은 위와 같습니다.
쉽게 말해서 내가 받을 수 있는 대출한도를 계산하는 지표가 DTI(Debt To Income)라는 이야기인데요.
내가 갚을 수 있는 능력을 소득을 따져보고 얼마나 빌릴수 있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말은 쉽지만 그 지표를 우리가 알 수는 없으므로 전문가에게 상당을 받으셔야하는데요.
우리에게는 DTI 계산기라는 것이 있어서, 이를 쉽게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검색으로 부동산계산기를 찾아보시면 메뉴 중에 DTI 계산기가 상단 메뉴에 보이실겁니다.
몇 가지 선택하실 수 있는 메뉴가 보이는데요. 저는 [만기일시상환]과 [추정금리사용] 그리고 [DTI]를 선택해서 입력해봤습니다.
예시로 금액 등을 입력 후 계산기 버튼을 눌렀는데요.
그러면 아래쪽에 계산서라고 자동 계산되어서 나옵니다. 20.38%라는 다소 높은 수치의 DTI가 나왔네요.
이 곳 외에 더 자주 이용하시는 [금융감독원] 홈페이지도 있습니다.
계산법은 동일하니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서 DTI 계산기 찾아가는 방법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검색으로 금융감독원을 검색하신 후 사이트에 입장합니다.
상단 메뉴 가장 우측에 보시면 [전체메뉴] 아이콘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전체메뉴가 펼쳐지는데요. 하단에 [서민금융 1332] 를 선택해서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새 창이 열리며 해당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다시 이곳에서 [신용 및 재무관리 > 가계재무관리] 메뉴로 선택해서 이동해줍니다.
왼쪽 메뉴 리스트를 보시면 [금융거래 계산기]가 보이실 겁니다.
이제 다왔는데요. 여러가지 계산기 중에 [DTI 계산기]가 보이실건데요.
이 곳에서 정확한 정보를 입력 후 내 DTI를 계산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