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업을 하시거나 그쪽 방면으로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지적도를 많이 찾아보실 줄로 압니다.
저도 얼마 전에 아버지 고향에 있는 땅때문에 인근 지역민과 사소한 다툼이 생겨서 고향 친척분들에게 팔려고 알아보았는데요.
지적도를 무료로 열람하는 법을 알게되었습니다.
단어도 조금 생소하고 뭔가 싶어서 이리저리 알아보았죠.
사전적으로 찾아보니 지적도란 토지의 지번, 경계등을 나타내기위해서 나라에서 만든 평면지도를 이르는 말을 지적도라고 하더군요.
쓰임새가 다양해서 찾는 횟수가 빈번하다고 합니다.
간단하게 지적도 무료열람을 하기위해서는 마련된 서비스가 두가지 있습니다.
한가지는 [네이버 지도]를 이용하는 방법이고 또 하나는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 법입니다.
먼저 지적도 무료열람을 위한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를 이용해보겠습니다.
네이버 검색으로 아래화면이 나오면 홈페이지로 이동해주세요.
상단메뉴에서 토지이용계획>토지이용계획 열람 순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소재지를 지번과 도로명주소로 찾을 수 있느데요.
저는 예전에 제가 살던 곳의 지적도를 찾아볼께요.
주소는 알겠는데 본번과 부번을 입력하라고 합니다.
본번과 부번을 모를경우 [지도로 지번찾기] 버튼을 이용하라는군요.
왼쪽 상단에 지번보기 버튼 보이시나요?
지도에서 원하는 곳 클릭하면 아래처럼 [열람보기] 버튼들이 활성화됩니다.
클릭을 해서 확인해 보니 아래처럼 지적도와 해당하는 땅의 정보들이 모두 열람되는군요.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를 이용해서 지적도 무료열람을 해봤습니다.
네이버 지도를 이용한 지적도 무료열람은 정말 간단합니다.
네이버 지도를 사용하는 방법은 모두 아실 것이라 믿고 예를 들기위해 부산 태종대를 검색해서 지도화면을 띄워봤습니다.
상단 우측메뉴에 보시면 [지적편집도] 아이콘이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아래 화면처럼 지도가 지적도로 변경됩니다.
지적도에서 표시되는 숫자와 색깔, 기호 등 의미하는 바를 잘 모르시겠으면 지도범례를 확인하시면 되는데요.
네이버 지도범례는 왼쪽 메뉴를 활성화 시키면 제일 하단에 나옵니다.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와 네이버 지도를 통해서 지적도 무료열람하는 간단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정도면 토지계약전이나 부동산계약전 등에 충분히 활용할 수있는 정보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