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 유전법칙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우선 알아야하는 것이 있죠.
바로 우성과 열성법칙을 알아야 하는 것이죠.
완두콩 실험이 가장 유명한데요.
완두콩의 모양이 둥근것과 주름진 것 두가지로 실험한 것이죠.
둥근것을 R, 주름진 것을 r로 했을 때 R이 우성이라 함께 교배했을 때 Rr이면 우성인 둥근모양의 성질이 나타나서
둥근 완두콩이 나오게됩니다.
전세계적으로 보통 혈액형은 대표적으로 ABO식 혈액형을 쓰는데요.
혈액형도 이 우열법칙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식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되는데요.
간단하죠?
A형과 B형은 서로 우열을 가릴 수 없고 O형이 가장 열성인 혈액형입니다.
이렇게해서 몇가지 조합이 나오게 됩니다.
<출처 : 구글 이미지검색>
표가 이해되시나요?
이제 한가지 더 고려해야할 것이 있습니다.
저 표를 보면 A형과 B형이 결혼을 하면 AB형만이 나와야 할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그렇지는 않죠?
부모가 A형이라도 AA형의 A형인지 AO형의 A형인지 알아야한다는 것입니다.
B형도 마찬가지죠.
A가 우성이라 혈액형이 A라도 O형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면 자식에게 O형의 유전자를 물려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위 표가 잘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이제 예로 몇가지 들어보겠습니다.
경우의 수가 적은 것부터 볼께요.
부모가 모두 O형인 경우 자녀에게 나타날 수 있는 혈액형은 무엇일까요?
OO + OO = ?
네 한가지 뿐이 없죠. O형입니다.
부모 중 한명이 O형인 경우도 쉬운데요.
어머니가 O형이라면 아버지의 혈액형에 따라서 혈액형이 정해지겠죠?
아버지가 AB형이라면, A형 또는 B형의 자녀가 태어납니다.
아버지가 A형이라면, A형 또는 O형의 자녀가 태어납니다.
아버지가 B형이라면, B형 또는 O형의 자녀가 태어납니다.
이해되시죠? 아버지가 A형이라도 AA형일 수도 AO형일 수도 있기 때문이죠.
마지막으로 한가지 예만 더 들면,
아버지가 A형이고 어머니가 B형인 경우인데요. 가장 많은 혈액형이 나올 수 있는 타입입니다.
AO형과 BO형이라고 가정하면
모든 혈액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AB형, A형, B형, O형 모두 나올 수 있습니다.
혈액형 유전법칙 알아보니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