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7 설치를 하면 이제는 zip형식의 압축파일은 기본적으로 압축해제를 지원합니다.
OS에서 압축해제를 지원하는 시대에 살고있는데요. 좋은 세상에 살고있음을 실감합니다.
zip파일은 전세계에서 통용되는 압축파일입니다. pkzip이라는 회사에서 공개소스로 개발한 압축포맷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마도 윈도우 자체에서 지원하는가 봅니다.
하지만 같은 압축파일인데도 확장자가 다른 파일이 있는데요.
egg같은 파일이 그렇습니다. 여러가지 다른 포맷의 압축확장자도 있지만 오늘은 확장자 egg만 언급하겠습니다.
egg 압축풀기에 관한 포스팅이나까요.
저는 처음 egg포맷을 접한 것이 분할압축 또는 해제하기 위해서 필요했는데 egg 및 alz형식의 포맷이 가능하다고 해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egg파일은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압축포맷이 아닙니다.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압축/해제를 해야하는 파일포맷입니다.
사실 이 포맷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포맷입니다. 유명한 알집에서 만든 alz의 후속작 격인 파일포맷이 바로 egg입니다.
egg 압축풀기에 대해서 작성하기 전에 약간의 배경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기존의 zip형식의 포맷으로는 4GB이상의 파일의 압축이 불가능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기업인 알집에서 개발을 한 포맷이 alz입니다.
분할압축도 지원하는 포맷이기도 합니다.
원리를 잘은 모르지만 대강 이야기를 하면 zip형식은 압축크기를 4byte로 저장하기 때문에 4GB의 한계가 있으며
알집에서 사용하는 alz는 8byte로 저장을 해서 그 이상을 압축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alz포맷이 나온지 8년 정도 뒤에 나온 포맷이 egg파일 포맷입니다.
최신의 포맷이니 유니코드지원, 솔리드 압축 형식 지원, 32/64bit OS지원 등 글로벌시대에 맞추어 계속해서 개발 중인 포맷이라고 합니다.
조금 길게 egg 포맷에 대해서 이야기 했는데요.
이유는 국내기술이라는 이야기입니다. 국내기술인지는 정확히는 모르지만 분명한 것은 국내기업에서 만든 것입니다.
왠지 자랑스러워서 길게 적었나봅니다.
그래서 결론은 "egg 압축풀기는 알집으로 하자" 입니다.
egg 포맷을 만든 회사의 툴로 압축을 푸는 것이 압축/해제 시에 오류도 적지 않을까요?
알집 다운로드 방법입니다.
간단하게 네이버 검색을 이용하겠습니다.
알집 검색하면 나오는 링크를 빨간화살표 따라가면 공식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요
다운로드 하는 법과 설치법이 쉽지만 혹시나해서 찾아가는 법에 대해서 위 캡쳐화면 남겼습니다.
알집 설치 시에는 다른 프로그램이 깔리는 경우가 있으니 체크박스 주의해서 보면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댓글